상상도 할 수 없는 35년이라는 기간 동안 일제 강점기를 보내고 일제의 억압과 착취를 벗어난 1945년 8월 15일과 3년 후인 1948년 8월 15일에 정부의 수립을 기념하고, 또한 해방과 자유 그리고 나라의 주권을 되찾은 것을 기념하기 위해 1949년 제정되었다. 광복절의 제정의미와 광복절의 뜻, 국경일 그리고 공휴일, 대체공휴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광복절의 뜻과 제정의미
광복절의 뜻
2023년 8월 15일은 78주년 광복절이다. 광복절의 광복은 한자로 빛광자와 돌아올 복으로 빛을 회복한다는 뜻이다. 즉, 빼앗긴 우리나라의 주권을 다시 찾은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1945년 일제치하를 벗어나지만 미군에 의한 군정이 실시되었기 때문에 사실상 다니 주권을 되찾은 날은 1948년 8월 15일이 진정한 주권회복의 날이라 할 수 있다
광복절 제정의미
대한민국의 정부수립을 경축하고 국가가 잃었던 국권을 회복하며 대한민국의 독립정신 계승을 통하여 국가발전을 다짐하기 위하여 광복절을 제정하였다.
광복절, 국경일, 대체공휴일
광복절(光復節, National Liberation Day of Korea)은 대한민국이 일본으로부터 주권을 되찾은 것을 기념하는 날로, 대한민국에서 광복절을 국경일과 공휴일로 법제화하여 매년 양력 8월 15일에 기념하고 있다.
1945년 8월 15일은 대한민국이 일본으로부터 나라를 되찾았고,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다. 그러므로 주권을 되찾은 4년 후인 1949년 5월 국무회의에서 8월 15일을 독립기념일로 의결하여 1949년「국경일에 관한 법률」에 의해 광복절로 명칭을 변경한다.
대체공휴일은 2013년 박근혜 정부에서 설날과 추석 연휴, 어린이날을 대상으로 처음 시행되었고, 공공기관만 적용되었다. 그 이후 문재인 정부에서 5인 이상 사업장은 모두 지키도록 법률로 제정했다. 또한 대체공휴일의 대상도 삼일절과 광복절 등으로 확대하여 2021년에 광복절이 처음으로 대체공휴일이 되었다.
윤석열 정부가 올해부터 부처님 오신 날과 크리스마스도 대체공휴일로 제정함으로써 1월 1일과 현충일을 뺀 모든 공휴일이 대체공휴일이 되었다.
광복절을 생각하면 몇 년 전에 동주라는 영화를 보고 많은 생각과 그 시대에 치열하게 살았던 청춘들에 대한 감동과 신념에 대한 것에 경외심과 한편으로는 국가를 위해 자신의 희생을 불사하는 젊은이들의 무모함이라고 할 정도의 열정에 아무 생각을 하지 못했던 기억이 있다.
광복절 하루라도 국가의 주권과 자유라는 단어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보고 되새기는 하루가 되기를 바라본다.
'사회 정치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핀, 아이핀 발급방법, 아이핀 발급기관, 나이스아이핀, 미성년자 아이핀 발급 (0) | 2023.07.04 |
---|---|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수령나이, 예상수령액 (0) | 2023.06.25 |
국민건강보험 사전적용과 환급금 조회, 평균 135만원, 신청방법, 신청기간, 지급일 (0) | 2023.06.07 |
1, 2, 3, 4세대 실손 보험 비교, 청구기한과 청구 필요서류, 보험금 수령시 손해사정인 활용법 (2) | 2023.06.04 |
청년 도약 계좌 정부기여금, 비과세, 신청조건, 이자(고금리), 신청기간, 신청은행, 청년희망적금중복 불가 (0) | 2023.06.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