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난히 입냄새가 심한 사람이 있다. 본인도 힘들고, 상대방은 민망할까 봐 말도 못 하고 무척 난감한 경험이 있다. 이러한 입냄새의 주범 중에 하나가 편도 결석이다. 편도결석의 원인과 증상 그리고 제거 방법에 대하여 알아본다.
편도 결석이란
편도 결석이란 편도나 편도선의 작은 구멍들에 세균과 음식물 찌꺼기가 모여서 생기는 작고 노란 알갱이를 의미한다.
결석이라고 부르지만 다른 결석과 달리 딱딱하지 않으며 손으로 만지면 부스러질 정도의 부드러움을 가진다.
구강의 상태가 양호함에도 구취가 나고, 양치질을 하는데 구역질이 나는 경우 의심해 볼 수 있다.
편도결석은 편도에 이미 틈이 생겼기 때문에 한 번 발생하면 재발이 잘 된다.
편도결석의 원인과 증상
편도결석의 원인
편도결석의 주요 원인은 만성 편도염이다. 만성 편도염으로 인하여 편도의 작은 구멍 즉 편 도와가 커질 수 있다.
편도와에 음식물 찌꺼기와 함께 세균이 번식하면서, 작은 알갱이들을 만들면 편도결석으로 진행된다.
부비동염이나 비염등의 증상으로 콧물이 목 뒤로 넘어가면 편도에 세균이 증식할 수 있기 때문에 편도결석의 하나의 원인이 된다.
입 안에 침이 부족하면 편도 결석이 생길 수 있다. 입안의 음식물을 씻어내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세균의 번식이 활발해지기 때문이다.
편도결석의 증상
별다른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지만, 주요한 증상은 입 냄새가 나고, 양치질이나 재채기를 하다가 입에서 작고 같고 노란 알갱이가 나온다.
목에 이물질이 걸린 것 같은 느낌이 들거나 간질간질하기도 하다.
침을 삼킬 때 귀가 아프거나 목이 아픈 증상이 생길 수 있다.
편도 결석 제거와 빼는 법
편도결석은 건강 문제를 심각하게 일으키는 질환은 아니다. 그러나 구취나 목의 이물감 등의 증상으로 편도결석을 제거하기를 원한다. 편도결석의 제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양치질을 하거나 재채기를 하면서 저절로 나오는 경우도 있다.
대부분의 병원 치료는 결석을 기계로 빨아들이는 흡인 치료를 시행한다. 그러나 흡인 치료는 일시적이며, 시간이 지나면 다시 재발할 가능성이 크다.
또 다른 치료는 편도의 구멍을 막는 치료이다. 질산은 같은 약물이나 레이저로 편도에 있는 구멍을 막는다.
가장 확실한 결석 제거 치료는 편도절제술이다. 확실한 치료법이지만 수술의 효과와 합병증의 위험도 생각해야 한다.
또한 구강 위생을 개선하는 치료를 먼저 시행한 이후 경과가 좋지 않으면 수술을 결정한다.
편도 절제술은 1년 동안 항생제의 치료가 필요한 편도염을 5~6회 이상 앓았거나, 매년 3회 이상 편도염의 증상이 있는 경우에 편도절제술을 고려해 보는 것이 좋다.
목이나 귀의 통증, 구취, 이물감과 고열 등을 동반하는 문제가 계속되어 반복적인 결석이 생기는 경우도 편도 절제가 좋은 방법이다.
답답한 마음에 직접 편도결석을 손가락, 면봉 또는 제거기 등으로 제거하면 그 과정에서 편도에 염증이 발생하거나 편도 구멍의 크기가 커져서 증상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매우 크다.
결석을 빼낼 수는 있지만, 이후에 더 큰 결석이 생기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병원에서 제거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본인이 직접 빼는 것은 안된다.
편도 결석 예방법
편도결석을 예방하기 위한 최고의 방법은 구강 청결이다.
세균의 번식을 막기 위하여 청결을 유지해야 한다.
평소에 수분을 자주 섭취한다.
식사 후에는 양치질을 하고, 양치 후나 자기 전에 항균 성분이 있는 가글액으로 가글을 꾸준히 한다.
만병의 주범인 스트레스 관리와 금주와 금연도 예방법의 하나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