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직업상담사, 직업상담사 2급, 실기, 필기, 합격률, 취업

by smjini 2023. 8. 9.


직업상담사는 구직자에게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알려주고 취업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여러 가지 업무를 한다. 

직업상담사의  업무는 구직 컨설팅, 직업소개, 직업 관련 검사 실시 및 해석업무, 직업지도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업무, 직업컨설팅 행정업무 등이다.

주요한 상담업무는 노동시장에서 발생하는 직업 관련법 일반사항에 대한 상담과  채용 및 구직상담, 창업상담, 경력개발상담, 직업적응상담, 직업전환상담, 퇴직 후 상담 등 다양한 직업상담이 있다. 

 

직업상담사 2급 시험 정보

직업상담사  시험의 주무부처는 고용노동부이며, 시험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관리한다.

시험은 1급과 2급이 있으며,  1급은 매년 1회2급은 매년 3회 시행된다.

 2023년은 3회의 접수가 마감되었다.

직업상담사 2급의 시험과목과 시험시간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한다.

 

직업상담사 2급 필기 시험과목과 시험시간

2022년 제 3회차 필기시험부터  CBT방식으로 응시방식이 변경되었고,  합격여부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필기시험 과목 : 5 과목

1.직업상담학       2. 직업심리학       3. 직업정보론       4. 노동시장론       5. 노동관계법규

 

시험방법 :

객관식 4지 택일형이고,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으로 시험 시간은 150분(2시간 30분)이다.

 

합격기준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이고,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이다.

 

필기시험의 경우 시험 난이도는 어려운 편은 아니지만, 생소한 노동시장론과 노동관계법규를 어렵다고 느낀다. 하지만 평이하게 출제되기 때문에 쉽게 점수를 얻을 수 있다.

 

실기 시험 과목과 시험시간

실기시험은 필기 합격자에 한해 실시한다.

 

시험과목

직업상담실무

필기과목 중 직업상담학+직업심리학 70%, 직업정보론+노동시장론 30%로 구성되어 있다.

 

시험 방법

서술형과 필답형으로 시험시간은 필기시험과 동일하게 150분(2시간 30분)이다

 

합격기준

100점을 기준으로 60점 이상이며 필기와 달리 부분점수가 있다.  

2급 실기 시험의 경우 필기시험에 있는 노동관계법규가 없다. 

서술형, 필답형의 문제 형식이므로,  외워야 하는 양은 훨씬 많다, 

그러나 기출문제의 빈도가 높은 편이라 열심히 준비하면  합격이 가능하다고 본다.

 

 

2022년 직업상담사 합격률

2022년 직업상담사 2급 필기시험 합격률

회차 접수자 응시자 합격자 합격률
1회차 9,221 6,231 2,716 43.6%
2회차 7,952 5,653 2,698 47.7%
3회차 9,810 6,175 3,366 54.5%
합계 26,983 18,059 8,780 48.6%

 

2022년 직업상담사 2급 실기 시험  합격률

회차 접수자 응시자 합격자 합격률
1회차 5,393 4,212 1,847 43.9%
2회차 5,438 4,039 1,037 25.9%
3회차 6,290 4,760 2,053 43.1%
합계 17,121 13,011 4,937 37.9%

 

 

취업과 전망

 취업이 어려워지고 이직도 빈번해 짐에 따라 직업상담사라는 수요가 높아지고  국비지원으로 직업상담사를 취득할 기회가 많아졌다.  직업상담사의 합격자가 많아졌다는 건 취업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직업 상담사가  새로운 일자리를 찾아야 하고, 직업상담사의  경력자들이 많기 때문에  취업하기가 어렵다.

 

 취업은  공공기관과 위탁기관에서 직업상담사가를 채용한다.  대부분 계약직으로 채용이 되며,  계약만료 후 새로운 일자리를 찾아야 한다. 같은 기관에서 장기근속을 하면 정규직 전환에 대한 부담이 있기 때문이다.


직업상담사 급여는  초봉이 평균 2,400만 원대이며, 2~3년 경력직은 3,500만 원 정도이다.

박봉이며 취업의 전망이 그리 밝지 않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댓글